본문 바로가기
한국 vs 일본 비교 시리즈

옆 나라 일본, 투자 일본 주식 세금은 얼마일까? (feat. 금투세)

by 도쿄 유랑 2024. 10. 5.
반응형

주식 시장

최근 한국에서는 금투세를 도입하느냐 마냐로 갈팡질팡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한국은 일반 투자자들에게는 세금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미국, 일본을 포함한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과세를 하는 것에 비해 세금이 없어 일본에서 투자하는 투자자로서 상당히 부러운 시장인 것도 사실인 것 같습니다. 

일본에서 주식 투자로 얻는 이익에는 세금이 부과됩니다. 배당금과 주식 판매에 따른 양도이익에는 20.315%의 세금이 적용되며, 이 세금은 소득세와 주민세로 나누어집니다. 기본적으로는 확정신고가 필요하지만, 특정 계좌(원천징수)로 거래할 경우 확정신고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일본 주식 세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일본 주식 투자의 세금과 세금 납부 방법

2. 일본의 비과세 계좌 NISA

 

 

일본 주식 투자의 세금과 세금 납부 방법

일본 증권 계좌수 1위 라쿠텐 증권

일본의 주식 투자는 세금이 발생합니다.

주식 투자로 얻는 이익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바로 양도이익과 배당금입니다. 이 두 이익에는 모두 20.315%의 세금이 부과되는데, 이는 소득세 15%, 주민세 5%, 그리고 부흥 특별소득세 0.315%로 구성됩니다.

  • 양도이익: 주식을 매각하여 얻는 이익입니다. 예를 들어, 10만 엔에 구매한 주식을 11만 엔에 팔았다면, 1만 엔의 이익에 대해 세금 2,031엔이 부과됩니다.
  • 배당금: 배당금에 대한 세금은 신고분리과세종합과세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신고분리과세는 고정 세율 15%가 적용되지만, 종합과세를 선택하면 소득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며 배당 공제 혜택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소득이 적을 경우 종합과세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일본 투자자들은 수익에서 세금이 제외되어 기본적으로 주식 이익에 대한 세금은 확정신고를 통해 납부합니다. 하지만 특정 계좌(원천징수)를 사용하면 세금을 미리 원천징수할 수 있어 확정신고가 필요 없습니다.

  • 특정 계좌(원천징수 있음): 주식 투자에서 얻은 이익이 자동으로 원천징수되므로 세금 문제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에게 추천되는 방법입니다.
  • 확정신고: 일반 계좌나 특정 계좌(원천징수 없음)을 사용하면 확정신고가 필수입니다. 또한, 특정 계좌(원천징수 있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특정 상황에서는 확정신고를 통해 더 유리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금투세, 금융 투자 소득세

다음으로는 한국에서 도입하려하는 금투세입니다. 기본 공제가 국내 상장주식 등에 대해 5000만 원, 해외주식, 비상장 주식, 채권, 파생상품에 대해선 250만 원입니다. 세율은 3억 원 이하의 경우 22% 3억 원 초과의 경우 27.5%입니다. 

 

 

일본의 비과세 계좌 NISA

 

 

2024년 새로 도입된 비과세 계좌 NISA

2024년부터 일본은 "저축에서 투자로"라는 슬로건으로 국민들의 투자를 독려합니다. 그에 따라 비과세 계좌도 강화되었는데요. 그 계좌가 바로 NISA입니다. 이 계좌는 일본에서 거주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만들 수 있는 계좌입니다. NISA에서 얻은 이익에는 세금이 들지 않으므로 확정신고도 불필요합니다.

NISA계좌는 적립식 투자용과 성장 투자용 두가지로 나뉘는데 매년 각각 120만 엔, 240만 엔의 한도가 제공되며 한 명당 최대 1800만 엔까지 보유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최대 금액으로 매년 투자한다면 5년이면 다 채우게 됩니다.

 

 

 

 

 

일본 도쿄 거주자의 유랑기

일본 도쿄를 비롯한 여행기, 일본 정보, 일본 투자 정보, 일상, 일본 뉴스, 한국 일본 비교.

roaming-tokyo-japan.tistory.com

 

반응형